JLPT 문형/N3

JLPT N3 일본어 문법 문형 かな(あ)

appkoon's 2021. 10. 2. 10:31

 

▼  구글플레이 검색이나  아래 링크를  클릭해서 [니홍고일본어 ] 앱을 다운로드 해보세요!!    ▼


 

JLPT N3 문법 문형

【〜かな(あ)】


✅ 의미

「〜일까?」「〜하나?」「〜했으면 좋겠는데」

자신의 의문이나 바람・희망을 부드럽게 표현할 때 사용하는 회화체 표현입니다.

 

  • 혼잣말, 속마음, 독백처럼 사용됩니다.
  • 남성은 “かな”, 여성은 “かしら”도 자주 사용합니다.

✅ 형태

문형설명예시

동사 보통형 + かな(あ) ~할까? ~하면 좋을 텐데 行けるかな(갈 수 있을까)
い형용사 + かな(あ) ~할까? 高いかな(비싸려나)
な형용사 / 명사 + かな(あ) ~일까? きれいかな / 先生かな

 


✅ 예문

  • 明日、雨が降るかな
  •  내일 비가 올까?
  • この服、似合うかなあ
  •  이 옷, 어울릴까?
  • 彼、もう帰ったかな
  •  그 사람 벌써 돌아갔을까?
  • テスト、うまくいったかなあ
  •  시험 잘 봤을까?
  • 夏休みに旅行に行けたらいいかなあ
  •  여름방학에 여행 갈 수 있으면 좋겠는데.

✅ 뉘앙스 요약

종류의미사용 상황

〜かな ~일까? (의문) 혼잣말, 상대에게도 사용 가능
〜かなあ ~하면 좋겠는데 (희망/불안) 더욱 감정적, 독백 뉘앙스 강함
〜かしら 여성적 표현 여성들이 주로 사용

 


✅ 비교 표현

표현의미특징

~かも(しれない) ~일지도 모른다 추측 표현 (보다 논리적)
~かな(あ) ~일까? ~했으면 감정 중심, 회화체, 혼잣말 스타일
~といい(な) ~하면 좋겠다 소망 표현, 정중함은 덜함